본문 바로가기
나의 일상 & 투자

부자? 자산과 부채, 지금 우리는!?

by 202 BIFROST 2023. 1. 8.
728x90
반응형

부자? 자산과 부채, 지금 우리는!?

 

 

부자가 되기로 마음을 먹은 후

 

과연 부자란 뭔지 가난한 자란 뭘 뜻하는 건지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나름 내린 결론은

 

아무런 일을 하지 않아도 내 잔고가 늘고 있다면 부자

 

아무리 일을 많이 해도 잔고가 줄고 있다면 가난한 자

 

사이값에 대해선 높고 낮음의 차이가 있을 뿐

 

부자와 가난한 자에 대한 차이는 명백하게 표현되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로 유명한 로버트 기요사키는 자산과 부채를 통해 이를 이해시켜 주었다

 

이것은 자산!? 부채!?

 

한 줄로 요약하는 로버트의 핵심 내용은

 

자산과 부채를 금융교육과 금융지식으로 명확하게 분별하여

 

꾸준하게 자산을 모아가라 라는 내용이다

 

자산이란 시스템을 갖추어 놓았다면 꾸준하게 돈이 들어오는 상태의 구조이며

 

자신이 일을 하지 않아도 운영되어 수입을 주는 사업체라던가

 

주식 배당금, 채권이자나 수익형 부동산 및 특허권 등을 말할 수 있고

 

부채는 반대로 나에게서 꾸준하게 지출이 되는 상태의 시스템 구조다

 

주거형태의 모기지 이자, 할부구매 차량등 가만히 있어도 지출되는 돈을 뜻한다

 

대부분의 사업가나 투자가들은 자산에 대한 추구를 기본적인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듯하다

 

 

 

 

그럼 이쯤에서 나의 방향을 정리해 본다

 

모기지 2억 4천, 신용대출 9천, 기타대출 4천 합이 3억 7천이다

 

원리금 지출되는 비용만 월 200만원(부채)

 

어마어마하다

 

주식계좌 1천, 현금계좌 1천 가진 건 이것뿐

다행인게 자본주의의 노예로 살고 있어 다달이 500 정도의 수입은 가지고 있다

 

그랜트의 말대로 20%의 생활로 살아가려 하지만

 

노력대비 부족한 현실성 때문에 힘들지만 최대한 100만원정도의 세이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풍차 돌리기 올해 시작했다

 

그래서 10만원씩 개설하여 만기시 채권에 투자할 생각이고

 

골드 ETF 일일 1주씩 매수하며 한 달에 한번 리밸런싱 중이다

 

그랜빌 200선 기준으로 매수 적기가 온다면

 

적립식으로 배당 ETF를 공략해 볼 생각이며

 

그때 되면 환율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대비하여

 

종목을 선정할 계획이다

 

가급적 매도버튼이 안 나가게끔 구상중이긴 하다

 

 

투자의 길을 잘못 들어 너무나 험난한 길을 걸었던지라

 

부채가 자산을 한참이나 이기고 있는 악조건이다

 

10배 더 노력해서 이 현금흐름을 바꾸어 보자

 

당신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728x90
반응형

댓글